2020년 3월 3일 미국에서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이하 FED)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금리를 0.5%나 인하한 것이다.
이게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모른다고?
FED에서 금리를 0.5% 인하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처음이다.
이제 이 일의 중요성에 대해 직감했다면,
지금부터 왜 미국이 0.5% 금리인하를 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1. 미국의 0.5% 금리인하 이유
FED의 파월 의장에 따르면,
코로나19의 확산이 미국의 경제 전망에도 리스크를 주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0.5% 내린다고 한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끼치는 악영향을 금리인하에 따른 시장의 유동성 확대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시장에 돈을 풀겠다는 말이다.)
2. 코로나19 때문에 미국은 금리를 0.5%나 내려야 했을까?
미국 경제의 펀던멘탈은 여전히 강하다.
코로나19 발생 전까지 미국의 금융시장은 놀라울 만큼 연일 신고가를 갱신하고 있었고,
시장 참여자들은 즐거운 파티를 정신없이 즐기고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됨에 따라 미국의 금융시장은 상승의 피곤함을 드러내며 요동치기 시작하였고,
시장에 공포가 찾아온 순간 모든 사람들의 고개는 FED를 향했다.
(천하의 FED가 돈줄이 되었다니.)
결국 시장의 바람대로 FED는 신속하게 0.5% 금리인하를 하였지만,
FED의 0.5% 금리인하 결정은 코로나19의 직접적인 해결책이라 보기 어렵지 않을까.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시장에 돈을 풀겠다는 것인데,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실물경제에서 기업의 생산이 감소하고 사람들의 소비가 축소된 이유는,
시장에 돈이 없어서 발생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3. 미국의 0.5% 금리인하로 인해 앞으로 예상되는 일들
① 파월 의장이 금리인하 발표 이후 기자회견에서 금리정책 외 다른 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말해버렸다.
금융시장은 실망감으로 큰 폭 하락하였고, FED는 추가 조치를 취해야만 하는 상황이 됐다.
(예상되는 조치 : 추가 금리 인하, 통화긴축 축소 혹은 취소, 회사채 매입 등)
② 한국은행도 미국의 통화 완화 정책에 동참하여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2월 27일 기준금리를 동결했었다.)
③ 0.5% 금리인하로 시장에 유동성이 매우 확대됐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세를 찾는다면,
금융시장은 다시 한번 상승 랠리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된 것이다.
끝.
'돈에 관한 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시폭락! 코스피·코스닥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발동 (폭락이유/해결방안 분석) (0) | 2020.03.13 |
---|---|
팬데믹 코로나19 사태가 가져올 향후 경제 산업 변화 3가지 (0) | 2020.03.12 |
금융위, 한시적 공매도 금지 요건 완화 발표 (시행배경/세부기준/효과 분석) (0) | 2020.03.11 |
코로나19 사태 팬데믹 위협 현실화 (팬데믹 뜻/기존사례/경제여파 분석) (0) | 2020.03.10 |
국제유가 10% 급락 분석 (원인/국내영향/향후전망) (0) | 202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