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 침체로 인해 안전자산인 금(Gold)에 투자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금에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KRX 금거래소'를 추천한다.
그럼 지금부터 그 이유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세금 및 수수료 비용
국내에서 금에 투자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5가지가 있는데, 투자수단 별로 부담해야 하는 세금 및 수수료 비용이 다르다.
비교하기 편하게 아래의 표로 정리하여 보면, 세금 및 수수료가 가장 적은 게 'KRX 금거래소'이다.
유일하게 세금 및 금융소득종합과세가 면제되며, 수수료도 가장 저렴하다.
반면에 골드바 같은 경에는 부가가치세도 10%와 골드바 제작비용 5% 등을 고려했을 때, 15% 초과 수익이 나야 투자 수익이 발생한다.
※ 투자 수단별 세금 및 수수료 비교
구 분 | KRX 금거래소 | 금 ETF/ETN | 금 펀드 | 골드뱅킹 | 금실물(골드바) |
세금 | 없음 | 매매차익 및 배당소득세 15.4% (단, 해외펀드 비과세 대상일 경우 면제) | 배당소득세 15.4% | 부과가치세 10% | |
금융소득종합과세 | 대상아님 | 과세대상 | 대상아님 | ||
수수료 | 온라인 0.15~0.3% / 오프라인 0.45~0.5% | 0.5% 내외 | 1.5~2% 내외 | 1% | 은행 5% |
2. 투자 편의성
얼마나 간편하고 쉽게 투자할 수 있는지도 중요한 고려 대상이다.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최소한의 거래단위로 실시간으로 매매를 할 수 있는 KRX 금거래소, 금 ETF가 가장 편리할 것이다.
KRX 금거래소의 경우 회원사의 증권사를 통해 금계좌를 만들고 주식처럼 HTS/MTS를 통해 1g 단위로 거래를 할 수 있다.
금 ETF/ETN의 경우에도 증권사의 HTS/MTS를 통해 1주씩 거래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금 ETF/ETN 상품으로는 'KODEX 골드선물, 신한 레버리지 금 선물 ETN, 삼서 레버리지 금선물 ETN' 등이 있다.
※ 투자 수단별 판매처 및 거래단위 비교
구 분 | KRX 금거래소 | 금 ETF/ETN | 금 펀드 | 골드뱅킹 | 금실물(골드바) |
판매처 | KRX 금시장 회원 증권사 | 증권사 | 은행 | 은행, KRX금시장, 귀금속업체 등 | |
거래단위 | 1g | 1주 | 1만원 | 0.01g | 1kg |
끝.
'돈에 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사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TAX)' 4가지 (종합소득세/부가가치세/원천세/4대보험) (0) | 2020.04.12 |
---|---|
[금융 경제 상식] '공매도 숏커버링'이란? (뜻/이유/주가영향) (0) | 2020.04.07 |
[금융 경제 상식] '블록딜(Block deal)'이란? (뜻/이유/효과/주가영향) (0) | 2020.04.04 |
[금융 경제 상식] '양적완화'란? (뜻/효과/부작용) (0) | 2020.03.27 |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차이 (기준/부가세/세금계산서/전환)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