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적완화' 뜻
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현금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의 전통적인 통화정책은 금리 조정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금리 하락 정책으로도 경기를 부양시킬 수 없을 경우,
중앙은행이 시장에 현금을 공급하여 경기를 부양시키려는 비전통적 통화정책이다.
2. '양적완화' 효과
양적완화의 효과는 이론적으로 시장에 통화량을 증대시키면,
물가수준과 생샨량이 증대한다는 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
① 중앙은행의 대규모 자산매입은 미래의 정책금리를 낮게 유지할 것이라는 확정적인 통화정책 신호를 시장에 전달
② 중앙은행이 특정 자산을 대규모 매입할 경우 해당 자산의 희소성이 증대되면서 채권가격 상승 및 금리 하락 효과가 발생
③ 신용위험에 의해 금융기관의 자금중개기능이 약화된 상황에서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위험자산을 매입하는 경우 시장가격을 안정시키고 신용제약을 완화
④ 중앙은행이 장기국채를 대량으로 매입할 경우 민간의 포트폴리오가 단기화 되면서 듀레이션이 축소되고 장기채권의 리스크 프리미엄 및 금리 하락 압력이 발생
3. '양적완화' 부작용
① 중앙은행이 시장에 개입하여 시장질서 및 가격 형성을 왜곡하고 도덕적 해이를 조장하는 부정적 측면이 존재
② 공공부채인 화폐를 대가로 특정자산을 대규모로 매입함에 따라 부와 리스크가 재분배되고 자산가격 상승으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될 가능성
③ 부실 금융기관 및 기업의 구제금융과 병행될 경우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가중되면서 통화정책 의존도가 확대
④ 장기간의 양적완화로 확대된 과잉 유동성이 경기회복기에 접어드는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킬 우려가 상존
끝.
'돈에 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자산 '금(Gold)'에 투자하는 5가지 방법 비교 및 추천 (0) | 2020.04.05 |
---|---|
[금융 경제 상식] '블록딜(Block deal)'이란? (뜻/이유/효과/주가영향) (0) | 2020.04.04 |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차이 (기준/부가세/세금계산서/전환) (0) | 2020.03.24 |
2020 최저임금 기준 (최저시급 및 월급/주휴수당/최저임금계산기) (0) | 2020.03.22 |
[금융 경제 상식] '통화스와프'란? (뜻/목적/효과/현황) (0) | 2020.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