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란 쉽게 말해,
유가증권(주식, 채권)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투자법이다.
그럼 지금부터 '공매도'의 세부 내용에 관해 알아보자.
1. 공매도(空賣渡, Short stock selling) 뜻
공매도란 '없는 것을 판다'라는 의미로,
향후 하락이 예상되어 주식이나 채권을 빌려서 매도한 뒤에,
실제로 주식이나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면 저렴해진 가격엔 되사드려 빌린 주식이나 채권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 투자 기법이다.
예를 들어, 하락이 예상되는 A종목 주식 1개를 현재가 10,000원에 빌려서 매도한 후에,
실제로 A종목 주식 1개의 가격이 7,000원으로 하락하였을 때,
A종목 주식 1개를 매수하여 이전에 빌린 것을 값아 3,000원의 차익을 얻을 수 있다.
2. 공매도 방법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공매도는 '차입공매도(Covered short selling)'
즉, 빌려서 매도한 후에 되갚는 공매도만 허용된다.
개인 투자자의 경우에는 증권사로부터 유가증권(주식, 채권)을 빌려야지만 공매도가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금융 신용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공매도는 현실적으로 기관투자자와 외국인투자자에게만 허용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3. 공매도의 장점과 단점
공매도는 주식의 가격이 단기적으로 과도하게 급등할 겨우,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 수준으로 되돌리는 등
증권시장의 유동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반면에 주식의 가격이 하락해야 수익을 얻기 때문에,
일부러 주식 시장을 교란시켜 주가 하락을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금융시장이 불안정할 때 공매도는 금융시장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주가의 하락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예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 헤지펀드들이 시장에 공포 분위기를 틈타
주식을 대량 공매도함으로써 금융시장의 위기를 더욱 증폭시켰다.
※ 금융시장 위기 때, 공매도가 끼치는 악영향
금융시장 불안 → 공매도 증가 → 주가 하락 → 기업가치 왜곡(실적이 좋은데도 주가 하락) →
투자자 패닉 및 대규모 투매 → 금융시장 불안 증폭
끝.
'돈에 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경제 상식] '중위소득'이란? (뜻/용도/2020년기준) (0) | 2020.03.19 |
---|---|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조건/신청방법/지급액/계산기) (0) | 2020.03.16 |
[금융 경제 상식] 헷지(Hedge) 투자 (뜻/방법/헷지펀드) (0) | 2020.03.16 |
2020 연봉 실수령액 (계산방법/4대보험 변경사항/실수령액표) (0) | 2020.03.15 |
[금융 경제 상식]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뜻/발동기준/효과)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