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에 관한 상식

2020 연봉 실수령액 (계산방법/4대보험 변경사항/실수령액표)

 

1.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보험을 뺀 나머지 금액이 실수령액이다.

※ 실수령액 = 연봉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4대보험

 

2. 2020년 4대보험 변경 사항

2020년부터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인상되었다.

만약 올해 연봉이 인상되지 않았다면, 실수령액은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주르륵...)

구 분 2019년 기준 2020년 기준 보험요율 세부 기준
국민연금 9% '월급'의 9% (근로자 부담 4.5% + 사업주 부담 4.5%)
건강보험 6.46%   6.67% '월급'의 6.67% (근로자 부담 3.335% + 사업주 부담 3.335%)
장기요양보험 8.51%  10.25% '건강보험료 근로자 부담 금액'의 10.25%
고용보험 1.85% '월급'의 1.85% (근로자 부담 0.8% + 사업주 부담 1.05%)

 

3. 2020 연봉 실수령액표

아래 내용은 2020년에 변경된 4대보험 요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금액이다.

개인별 연봉 계약 조건, 세금 공제 수준 등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길 바란다.

 

▶ 1,000만원 ~ 2,900만원

▶ 3,000만원 ~ 4,900만원

▶ 5,000만원 ~ 6,900만원

▶ 7,000만원 ~ 8,900만원

▶ 9,000만원 ~ 10,900만원

▶ 11,000만원 ~ 12,900만원

▶ 13,000만원 ~ 15,000만원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