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화스와프(Currency swap) 뜻
통화를 교환하다는 뜻으로, 국가간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하면
양국은 필요할 때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자국 통화를 상대국 통화와 맞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과 미국 간에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되어 있으면,
한국이 달러가 필요할 때 1달러를 1,200원에 빌렸다가,
만기일에 1달러를 갚고 빌렸을 때와 똑같은 환율로 다시 1200원을 돌려받는 것이다.
2. 통화스와프 목적 및 효과
① 통화스와프 체결국 간에는 어느 한쪽에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상대국이 외화를 즉각 유통해줌으로써 유동성 위기를 넘기고 환시세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변제할 때는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을 적용함으로써 시세변동의 위험도 없으며,
IMF로부터 돈을 빌릴 경우에는 통제와 간섭이 따라 경제주권과 국가 이미지가 훼손되지만,
통화스와프는 이를 피해 외화 유동성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② 국내 금융시장 안정에도 긍정적 역할을 한다.
국내은행에 달러화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자금경색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고,
외환시장의 달러화 경색도 점진적으로 완화돼 환율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③ 외환보유액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신용경색이 심화되어 국내 외환자금이 불안해질 때,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와의 통화스와프를 통하여 달러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공급받은 통화스와프 자금은 외환보유액에 계산되지 않으므로,
외환보유액을 축내지 않으면서 외화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3. 통화스와프 체결 현황
한국은행은 2020년 3월 기준 총 1,932억 달러 이상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구분 | 국가 | 규모 (달러화 기준) | 만기 |
양자간 통화스와프 | 미국 | 600억 달러 | 2020년 9월 19일 |
중국 | 560억 달러 | 2020년 10월 10일 | |
스위스 | 106억 달러 | 2021년 3월 1일 | |
인도네시아 | 100억 달러 | 2023년 3월 5일 | |
호주 | 81억 달러 | 2023년 2월 5일 | |
UAE | 54억 달러 | 2022년 4월 12일 | |
말레이시아 | 47억 달러 | 2023년 2월 2일 | |
캐나다 | 사전한도 없음 | 상설계약 | |
다자간 통화스와프 |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 | 384억 달러 | 없음 |
끝.
'돈에 관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차이 (기준/부가세/세금계산서/전환) (0) | 2020.03.24 |
---|---|
2020 최저임금 기준 (최저시급 및 월급/주휴수당/최저임금계산기) (0) | 2020.03.22 |
[금융 경제 상식] '중위소득'이란? (뜻/용도/2020년기준) (0) | 2020.03.19 |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조건/신청방법/지급액/계산기) (0) | 2020.03.16 |
[금융 경제 상식] 헷지(Hedge) 투자 (뜻/방법/헷지펀드) (0) | 2020.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