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8)
코스피 폭락할 때 돈 버는 방법, 인버스 ETF 투자 (KODEX 200선물인버스2X 소개) 코로나19가 아시아를 넘어 미국, 유럽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국제유가(WTI)가 폭락하면서, 코스피 지수가 20년 2월 14일부터 3월 13일까지 한달간 약 -21% 폭락하였다. 하지만, 주식 시장이 폭락할 때에도 돈을 버는 방법이 있다. 바로 '인버스 ETF' 투자이다. 그럼 지금부터 인버스 EFT 투자에 관해 알아보자. 1. 인버스(Inverse) ETF 란 지수가 하락할 경우 수익이 발생하도록 설계된 금융투자 상품이다. 예를 들어, KOSPI 200지수가 1% 하락 시, 인버스 ETF는 1%의 수익을 얻는다. 2. 인버스 ETF 투자 방법 증권거래소 HTS, MTS에서 일반 종목과 같은 방식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3. 대표적인 인버스 ETF 상품 소개 인버스 ETF 종류는 20년 3월기준 153개나..
2020 연봉 실수령액 (계산방법/4대보험 변경사항/실수령액표) 1.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4대보험을 뺀 나머지 금액이 실수령액이다. ※ 실수령액 = 연봉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4대보험 2. 2020년 4대보험 변경 사항 2020년부터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가 인상되었다. 만약 올해 연봉이 인상되지 않았다면, 실수령액은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주르륵...) 구 분 2019년 기준 2020년 기준 보험요율 세부 기준 국민연금 9% '월급'의 9% (근로자 부담 4.5% + 사업주 부담 4.5%) 건강보험 6.46% 6.67% '월급'의 6.67% (근로자 부담 3.335% + 사업주 부담 3.335%) 장기요양보험 8.51% 10.25% '건강보험료 근로자 부담 금액'의 10.25% 고용보험 1.85% '월급'의 1..
[금융 경제 상식] '공매도'란? (뜻/방법/장단점 분석) '공매도'란 쉽게 말해, 유가증권(주식, 채권)의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투자법이다. 그럼 지금부터 '공매도'의 세부 내용에 관해 알아보자. 1. 공매도(空賣渡, Short stock selling) 뜻 공매도란 '없는 것을 판다'라는 의미로, 향후 하락이 예상되어 주식이나 채권을 빌려서 매도한 뒤에, 실제로 주식이나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면 저렴해진 가격엔 되사드려 빌린 주식이나 채권을 갚음으로써, 차익을 얻는 매매 투자 기법이다. 예를 들어, 하락이 예상되는 A종목 주식 1개를 현재가 10,000원에 빌려서 매도한 후에, 실제로 A종목 주식 1개의 가격이 7,000원으로 하락하였을 때, A종목 주식 1개를 매수하여 이전에 빌린 것을 값아 3,000원의 차익을 얻을 수 있다. 2. 공매도 방법 현..
금융위, '공매도 전면 금지' 등의 시장안정화조치 발표 (공매도란/시행배경/세부내용/효과 분석) 1. 시장안정화조치 시행 배경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선포될 만큼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고, 최근 우리나라 주식시장도 강한 충격을 받았다. 2020년 2월 14일 2,243.59원이었던 코스피지수가 3월 13일 1,771.44원까지 -21% 폭락했고, 3월 13일에는 한국 증시개장 이후 처음으로 코스피와 코스닥에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동시에 발동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 뜻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020/03/12 - [About 금융 경제 상식] - [금융 경제 상식]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뜻/발동기준/효과) 주식시장이 이처럼 극도로 불안정해지자, 금융위원회는 3월..
증시폭락! 코스피·코스닥 서킷브레이커+사이드카 발동 (폭락이유/해결방안 분석) 2020년 3월 13일 코스피와 코스닥에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가 모두 발동했다. 코스피지수가 장 초반 한때 8%넘게 급락해 1684.56원까지 떨어졌고, 코스닥지수는 9%넘게 급락해 한때 510.92원까지 폭락했기 때문이다. 이는 지난 2011년 10월 유럽발 재정 위기 이후 최악의 증시 폭락 사태이다. ▼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뜻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2020/03/12 - [About 금융 경제 상식] - [금융 경제 상식] '사이드'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뜻/발동기준/효과) 그럼, 지금부터 증시폭락 이유를 알아보고 해결 방안을 고민해보자. 1. 코스피·코스닥 주가 폭락 이유 국내 증시 폭락의 원인은 크게 2가지이다. 1) 팬데믹 코로나19 공포 확산, 세계..
[책 리뷰]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에서 배우는 주식 투자 방법 스스로에게 자문해보자. 나는 성공을 못 하는 것인가, 안 하는 것인가? 나는 사회가 정한 기준에 나를 맞추느라 나의 진정한 재능 혹은 능력을 제대로 발견하지도 발전시켜 보지도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은 이러한 물음을 가지고, 사회가 정한 기준/ 편견/ 낙인 등의 부정적 신호를 차단하고 스스로의 본질적 가치(재능 혹은 능력)에 집중하여 놀라운 성공을 이룬 사람들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그런데 책에 있는 여러 이야기 중에 주식 투자에 관한 얘기도 있어서 그 부분을 소개해 보려 한다. 하버드에서 주식 투자를 연구하는 동아리인 '블랙 다이아몬드'에 관한 이야기이다. '블랙 다이아몬드'는 하버드 내에서 꽤 폐쇄적인 모임이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하버드 학생들은 세계 최..
[금융 경제 상식]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 (뜻/발동기준/효과)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는 쉽게 말해 금융 시장(주식, 선물)이 급락할 경우, 강제적으로 거래를 못하게 막아 시장이 과열되는 것을 막는 안전 장치이다. 그럼 이제부터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세부 내용과 차이에 관해 알아보자. 1. 사이카드 (Sidecar) 1) 사이드카 뜻 선물시장에서 급변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현물시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 매매호가 관리제도이다. 2) 사이드카 발동 기준 1) 코스피 :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2) 코스닥 :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될 때 단, 주식시장 매매종료 40분전(14시 50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1일 1회..
팬데믹 코로나19 사태가 가져올 향후 경제 산업 변화 3가지 2020년 3월 11일(미국시간) WHO는 코로나19를 팬데믹이라 공식 선언했다. 즉, 코로나19는 이제 전세계적인 감염병이 되었다는 것이고, 이는 코로나19가 전세계의 경제 산업에도 막대한 영향 미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럼, 팬데믹 코로나19가 가져올 앞으로의 경제 산업의 변화 3가지를 예측해보자. 1. 비접촉/비대면 비즈니스 활성화 코로나19는 호흡기 질환으로서 사람간 접촉에 의해 감염이 전파되는게 문제였다. 사람들은 타인과 근거리 접촉을 하거나 다수의 사람과 밀폐된 공간에 있는 것을 불편해하기 시작했고, 이는 비좁촉/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앞으로 비좁촉/비대면과 관련된 비즈니스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온라인 교육, 온라인 업무, 전자상거래, 무인배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