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금융위, 한시적 공매도 금지 요건 완화 발표 (시행배경/세부기준/효과 분석) 1. 공매도 금지 요건 완화 배경 2020년 2월 14일 2,243.59원이었던 코스피지수가 3월 10일 1962.93원까지 -12.5% 급격하게 추락했다. 코로나19의 확산과 국제유가의 급락이 주식시장에 공포를 불러일으켰고, 불안해진 투자자들은 과도하게 투매를 함으로써 주식시장을 하락시키는 것이다. 게다가, 주식시장의 하락을 촉발시키는 공매도 거래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1월 3,180억원이었던 공매도 거래금액은, 3월 2~9일 만에 6,428억원으로 대폭 늘어났다. (공매도 :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팔고,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법) 이에 놀란 금융위원회는 3월 10일 새벽에 긴급하게 회의를 열고, 한시적 공매.. 코로나19 사태 팬데믹 위협 현실화 (팬데믹 뜻/기존사례/경제여파 분석) 2020년 3월 9일(미국시간) WHO는 코로나19로 인해 팬데믹 위협이 매우 현실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팬데믹이 어떤 의미이고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1. 팬데믹 뜻 팬데믹(Pandemic)은 그리스어 Pandemos(모든 사람들)을 어원으로 하며, 질환이나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사람 간 전염되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것을 펜데믹이라 일반적으로 정의한다. 2. 예전 팬데믹 사례 흑사병, 스페인독감 등 역사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간 심각한 감염병들이 있지만, WHO가 설립 된 1948년 이후 선언된 공식적인 팬데믹은 2차례였다. 바이러스명 홍콩독감 (H3N2) 신종인플루엔자A (H1N1) 발생연도 1968년 2009년 발생지 홍콩 멕시코 사망자 100.. 국제유가 10% 급락 분석 (원인/국내영향/향후전망) 2020년 3월 6일(미국시간) 국제유가(WTI)가 10.1% 급락하여, 배럴당 41.28달러에 거래를 마치는 일이 발생했다. 이는 2016년 8월 이후 최저치이며, 2014년 11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도대체 원유시장에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일까? 1. 국제유가 10% 급락 원인 지난 6일에 열린 OPEC+ 회의에서 파열음이 발생했다. 사우디가 산유량 감산을 제안했지만, 러시아가 이를 거절한 것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원유의 수요 감소 위기 속에서, 원유시장 안정을 위한 공조를 포기하고 시장 점유율 쟁취를 위한 치킨게임의 길을 선택한 셈이다. 2. 러시아는 왜 사우디의 제안을 거절했을까? 러시아의 경쟁국은 미국이다. 그런데 산유량이 감산될 경우 반사이익을 보는 것이 바로 미국 석유회사들이며, 반대로 산.. 미국 0.5% 금리인하 분석 (이유/효과/향후전망) 2020년 3월 3일 미국에서 놀라운 일이 발생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이하 FED)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금리를 0.5%나 인하한 것이다. 이게 얼마나 놀라운 일인지 모른다고? FED에서 금리를 0.5% 인하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처음이다. 이제 이 일의 중요성에 대해 직감했다면, 지금부터 왜 미국이 0.5% 금리인하를 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1. 미국의 0.5% 금리인하 이유 FED의 파월 의장에 따르면, 코로나19의 확산이 미국의 경제 전망에도 리스크를 주고 있기 때문에 금리를 0.5% 내린다고 한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끼치는 악영향을 금리인하에 따른 시장의 유동성 확대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시장에 돈을 풀겠다는 말이다.) 2. 코로나19 때문에 미국은 금리를 0... 이전 1 ··· 11 12 13 14 다음